• AWARE
  • 단체소개
  • 공지사항
  • 활동소식
  • 시골개1미터의삶
  • 자료실(NEW)
  • 후원하기
  • facebook

활동소식

[취재요청] 동물원수족관법 및 야생생물법 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 “코로나 19 이후 시대, 신종질병 예방을 위한 야생동물 관리 방향은?”

○ 일시: 2020년 7월 9일(목) 오전 10시  ○ 장소: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 ○ 주최: 한정애 국회의원, 동물복지국회포럼, (사)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 국회 한정애 의원, 동물복지국회포럼, (사)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는 7월 9일(목) 오전 10시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동물원수족관법 및 야생생물법 개정을 위한 국회토론회 – “코로나 19 이후 시대, 신종질병 예방을 위한 야생동물 관리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한다.  □ 최근 코로나19  더 읽기 ➞

등록일: 2020-07-08

[국회토론회]코로나19이후 시대, 신종질병 예방을 위한 야생동물 관리 방향은?

어웨어는 7월 9일 오전 10시 국회 제3세미나실에서 한정애 의원실, 동물복지국회포럼과 공동으로 ’코로나19 이후 시대, 신종질병 예방을 위한 야생동물 관리 방향은?’이라는 주제로 국회토론회를 개최합니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심각한 인명 피해와 사회적 비용을 지불하고 있는 지금,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재정립해야 한다는 성찰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야생동물과의 불필요한 접촉과 거래를 최소화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더 읽기 ➞

등록일: 2020-07-01

[언론보도] 미국너구리 라쿤이 한국에서 ‘생태계위해우려생물’로 지정된 까닭은? (경향신문)

환경부가 라쿤을 생태계위해우려생물로 지정했습니다. 앞으로 상업적인 판매 목적의 수입 또는 반입은 지방환경청, 또는 유역환경청장의 허가를 받아야 하고, 상업적인 판매 외의 목적일 경우에는 신고를 해야 합니다. 또 라쿤을 생태계로 방출, 유기 등을 해서는 안 되며, 이를 위반할 경우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동물카페에서 가장 흔히 전시되는 종인 라쿤 반입의 규제로 야생동물의 무분별한 카페  더 읽기 ➞

등록일: 2020-06-03

[언론에 비친 어웨어] “야생동물을 평생 만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동물과 인간과의 거리를 재정립해야 할 시기라고들 한다. 얼마나 멀어야 하나? “아마 대부분의 동물들은 인간과 상당히 먼 거리를 유지하길 바랄 것 같다. 간혹 갈대밭이나 산에서 인기척을 느낀 고라니가 얼마나 빠른 속도로 도망가는지 경험해본 분들은 아실 거다. 기본적으로 야생동물과 인간의 건강한 거리는, 해당 야생동물에게 이동과 움직임의 자유가 주어졌을 때 그 동물이 허용하는 만큼의 거리라고 생각한다.” -만일 동물과의  더 읽기 ➞

등록일: 2020-05-23

[언론보도] ‘안녕하지 않은’ 동물들이 보내는 절박한 구조요청 (한겨례)

오늘자 한겨레 북섹션 면에 <동물이라서 안녕하지 않습니다>에 대한 기사가 실렸습니다.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읽고 동물들과 지구가 처한 절박한 현실을 인식하고 변화를 만들기 위해 일상에서 할 수 있는 일을 찾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원문보기: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497362?fbclid=IwAR1WpRrvSs5jKlqwTHERXK0DYAosyvlvgd104-6sO8Nb6S8GVJ7_lMOZM8k

등록일: 2020-05-15

‘문미터정부’에서 대선공약 이행상황을 점검했습니다.

대선 공약 이행상황을 점검하는 공약 체크사이트 ‘문재인미터’에서 동물복지공약 이행상태를 평가했습니다.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배포한 보도자료, 정책 연구·보고서, 언론보도, 국회의안정보시스템 등을 근거 자료로 사용하였고 정부에 직접 질의해 답변을 받았습니다. (공약 전체의 내용 및 평가는 문미터정부 홈페이지 www.moonmeter.kr 에서 ‘동물’을 검색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는 ‘사람과 동물이 함께 사는 건강한 생명국가를 만들겠습니다’를 메인 공약으로,  △반려동물 보호자  더 읽기 ➞

등록일: 2020-05-12

[동그람이 기고문] 굶주린 사자를 구하는 방법은 ‘생닭 기부’가 아니다

코로나19 로 관람객이 줄어 사료값이 없다는 실내동물원 대구 #아이니테마파크 에 대해 어웨어 사무실로 해당 업체에 기부 방법을 물어오시는 분도 계시고 정부에 지원을 해달라는 요청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어웨어의 입장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영난과 관계없이 유사동물원은 본질적으로 비인도적입니다. 유사동물원을 규제하기 위해 20대 국회에서 어렵게 발의된 동물원수족관법과 야생생물법 개정안은 이제 며칠있으면 자동폐기됩니다. 그러나 어웨어는 다시 시작하겠습니다. 야생동물을  더 읽기 ➞

등록일: 2020-05-04

[출간] <동물이라서 안녕하지 않습니다>

#동물이라서_안녕하지_않습니다 어웨어의 자문위원이신 질병생태학자 황주선 박사님과 이형주 대표가 공동으로 쓴 어린이책 <동물이라서 안녕하지 않습니다>가 출간되었습니다. A4 용지 크기밖에 되지 않는 배터리 케이지에 갇힌 닭, 진흙 목욕은 꿈도 못 꾸고 새끼만 낳아야 하는 공장식 농장의 돼지, 팜유 농장 때문에 열대 우림 집을 빼앗긴 오랑우탄, 휴대전화 제조에 필요한 콜탄 채굴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돼 멸종 위기에 놓인 고릴라,  더 읽기 ➞

등록일: 2020-04-29

[언론보도] 당신은 무엇을 동물원이라 부르십니까?(한겨례)

한겨레 애니멀피플에 실린 인터뷰입니다. 코로나19로 체험동물원 수입이 줄었다는 보도가 잇따르면서 실내체험동물원에 사료와 기부금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정부의 지원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그런데 이런 업체들은 애초에 동물을 열악한 환경에 가두고 만지고 먹이주는 체험에 사용하는 동물학대시설입니다. 동물의 환경 개선 없이, 앞으로는 돈벌이 대상으로 사용하며 학대하지 않겠다는 약속없이 시민들의 기부금이나 세금으로 지원하는게 맞을까요? 언론은 ‘위기의 동물들’ 모습만  더 읽기 ➞

등록일: 2020-04-29

[언론보도] 밥이 없어 동물원이 동물을 죽인다고?(한겨례21)

코로나19로 체험동물원에 관람객 발길이 끊기면서 수입이 줄자 일부 업체에서는 ‘멸종위기종도 보호하고 있는데 국가가 운영비를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동물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국가가 ‘운영비를 보전’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유흥시설에 불과한 체험동물원에서 보호종 동물을 사육하지 못하도록 제도를 뜯어 고치는 것이 정부가 해야 할 일입니다. 20대 국회에 발의된 동물원수족관법 개정안과 야생생물법 개정안은 이제 조금 있으면 자동폐기됩니다.  더 읽기 ➞

등록일: 2020-04-27

  • « Previous Page
  • 1
  • 2
  • 3
  • 4
  • 5
  • …
  • 15
  • Next Page »

최신 글

  • [공동성명] ‘백색목록’ 도입으로 무분별한 야생동물 거래 근절하는 야생생물법 개정안 발의를 환영한다
  • 2020년 활동보고
  • [성명] 동물원 허가제 도입과 ‘유사동물원‘ 규제하는 ‘제1차 동물원 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환영한다.
  • 동물학대 예방 캠페인 진행상황입니다.
  • [기고문]체험으로 병들어가는 동물들

후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후원하기로 바로가기

사단법인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 고유번호 123-82-15535 | 대표 이형주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37길 12-7, 106호 (빌드온빌딩) 우: 06735

대표전화: 070-8666-6765 | 팩스번호: 02-6455-6765 | E-mail: webmaster@aware.kr


Copyright © 2021 AWARE | Animal Welfare Awareness, Research and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