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WARE
  • 단체소개
  • 공지사항
  • 활동소식
  • 시골개1미터의삶
  • 자료실(NEW)
  • 후원하기
  • facebook

[시골개1미터의삶] 산책하기 좋은 봄날씨입니다.

시어제 일요일은 정말 ‘개 산책시키기 딱 좋은 날씨’였습니다. 채러티팟의 모델 천순이도 (이제는 사진보다 덩치가 큽니다 —;;) 콧구멍에 바람을 쐬는 하루를 보냈습니다. 지금 나와 함께 사는 반려동물이 물도, 사료도 제대로 없이 1미터 줄에 묶여서 같은 자리에서 배설하고 잠을 자는 사는 상황, 상상할 수도 없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저렇게 기르려면 동물을 왜 기를까?”하는 묻는 분들이 정말 많습니다.  더 읽기 ➞

등록일: 2020-03-23

러쉬가 ‘시골개 1미터의 삶’을 응원합니다!

어웨어가 러쉬의 ‘기부되는 보디로션’ 채러티팟 후원단체로 선정되었습니다. 판매금 전액이 기부되는 채러티팟의 수익금은 △시골개 시민캠페이너 지원사업, △시골개 중성화수술 비용, △비도심 지역에서의 반려동물 인식개선 활동, △반려동물에게 사료, 물, 집, 몸을 움직일 수 있는 공간 등 기본적인 돌봄을 제공하는 것을 법으로 의무화하기 위한 활동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반려동물 천만시대라고 하지만, 평생을 1미터 줄에 묶여서 걸어보지도, 주위 냄새를 맡아보지도 못하고  더 읽기 ➞

등록일: 2020-03-19

[시골개1미터의삶] 시골개들의 집에 예쁜 문패가 생겼습니다?!

오늘도 활동가와 봉사자분은 시골개들을 찾았습니다. 개집에 누군가 예쁜 문패를 달아놔서, ‘누구지?’하는 생각을 했는데, 의문이 금새 풀렸습니다. 근처에 사시는 할아버지와 손자, 손녀 어린이가 저희도 모르는 새에 와서 간식도 챙겨주고, 이름을 쓴 문패도 달아준 것이었습니다. 개들도 아이들이 익숙한지 꼬리를 흔들면서 엄청 반겼습니다. 할아버지는 ‘아이들이 공원에 이웃들이 데려오는 반려견들은 무섭다고 하면서, 묶여 사는 이 개들은 보고싶다고 집에서 운다’고  더 읽기 ➞

등록일: 2020-03-15

[시골개1미터의삶] 마당개의 밝은 미래를 기대해봅니다.

날씨가 화창했던 어제, 모처럼 시골개들도 산책을 즐겼습니다. 지난주에는 경기도의 마당개 중성화 사업 회의에 참석했습니다. 경기도는 올해2억4500만원으로 700마리의 중성화 수술비를 지원해 유기견 발생을 줄여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이미 사업을 시행중인 용인시에서는 마당개 중성화 수술 사업 시행 후 전년대비 유기동물 발생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많은 분들의 관심으로 마당개의 처우와 보호 문제가 우리 사회가 정책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자리잡고  더 읽기 ➞

등록일: 2020-03-09

[시골개 1미터의 삶]시민캠페이너께 외부기생충 방지 목걸이를 지원했습니다.

파주에서 1미터 시골개들을 돌보는 활동을 수 년째 해 오고 계시는 시민 활동가님께 외부기생충예방 목걸이를 나눔 지원했습니다. 개장수가 있는 지역이라, 돌보던 개들이 사라지는 가슴아픈 경험을 하시면서도 꾸준히 활동하고 계신 모습이 안쓰럽습니다. 곳곳에서 동물을 위해 노력하시는 시민 및 개인활동가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등록일: 2019-06-03

[시골개1미터의 삶]봄이 완연한 주말 찾은 현장입니다.

봄이 완연한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어웨어는 봉사자 분들과 시골개 현장을 찾았습니다. 지역에서 지속적으로 봉사하시는 분들 덕분에 그나마 여름이면 개가 바뀌는 집도 줄었고, 개들도 주말을 기다리며 살고 있습니다. 오늘도 초등학생 친구들이 개들 간식도 주고, 물그릇도 채우며 도움을 주었습니다. 집 안에 사는 개들처럼 꽃을 배경으로 사진도 찍어보았습니다.  화재에 피해를 입으신 분들과 불길 속에 사라져간 동물들을 생각하니  더 읽기 ➞

등록일: 2019-04-08

[시골개1미터의삶]중성화수술의 권장 없이는 1미터 개들은 늘어만 갑니다.

3월 10일 시골개 캠페인 송파 현장 이야기입니다. 2주 만에 방문한 시골개들에게는 좋은 소식도 있고, 힘이 빠지는 소식도 있었습니다. 좋은 소식은 남은 음식도 겨우 챙겨주던 백구 어미개와 강아지가 살던 집에서 사료, 물도 챙겨주고 집 안에 짚도 깔아주었다는 소식입니다. 지난 설 연휴에 주인이 집을 비우면서 개들이 방치되어 있어서 애가 태운 것을 생각하면 작은 것 같아도 결코 작지  더 읽기 ➞

등록일: 2019-03-11

[시골개 1미터의 삶]몇 년 만에 처음 땅을 밟아보는 호피의 기분은 어떨까요?

군산에서 #시골개_1미터의_삶 캠페인을 진행했습니다. 이번 캠페인에는 강형욱 훈련사님과 1986이 함께 했습니다.  지난 토요일 뜬장을 들어낸 자리에 어미개와 강아지들이 줄에 묶여있지 않고 살 수 있는 펜스를 설치하는 작업을 실시했습니다. 이제 맨바닥을 딛는 것이 어느 정도 익숙해진 강아지들은 어미개와 신나게 뛰어 놀다가도 갑자기 쓰러져서 잠이 듭니다. 기둥을 박은 시멘트가 아직 마르지 않고 쌓인 배설물을 걷어낸 자리에 추가로  더 읽기 ➞

등록일: 2018-10-02

[캠페인]힐스코리아, 서울대학교글로벌MBA과정 학생들과 함께한 시골개 1미터의 삶 캠페인

5월 12일 어웨어는 힐스펫 뉴트리션과 함께 시골개 1미터의 삶 캠페인 현장에 나왔습니다. 기부해주신 사료를 급여하고, 망가진 집을 새 집으로 교체해주고, 집 주위를 청소하고, 산책을 시키는 활동을 했습니다. 뉴스1에서는 현장 취재를 와주셨습니다. 버려지는 유기동물도 많지만, 주인이 있더라도 물, 사료, 집 등 최소한의 돌봄도 받지 못하고 살아가는 개들이 너무나 많습니다. 법제도가 아무리 개정된다 해도, ‘개는 원래 그렇게  더 읽기 ➞

등록일: 2018-05-12

[캠페인]시골개 1미터의 삶 – 밖에 사는 개도 아파요

야외에 살면서 사고나 질병감염의 위험에 쉽게 노출되는 것도 시골개들이 직면한 문제 중 하나입니다. 어웨어는 9월 10일과 17일 <시골개 1미터의 삶>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시골개들의 진찰과 함께 응급한 동물을 치료했습니다. 현실적으로 주인이 있는 동물들의 치료를 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피부질환 등의 질병은 치료 후 관리가 불가능해 치료 자체가 의미가 없다는 수의학적 판단을 받은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더 읽기 ➞

등록일: 2017-09-17

  • « Previous Page
  • 1
  • 2
  • 3
  • Next Page »

최신 글

  • [공동성명] ‘백색목록’ 도입으로 무분별한 야생동물 거래 근절하는 야생생물법 개정안 발의를 환영한다
  • 2020년 활동보고
  • [성명] 동물원 허가제 도입과 ‘유사동물원‘ 규제하는 ‘제1차 동물원 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환영한다.
  • 동물학대 예방 캠페인 진행상황입니다.
  • [기고문]체험으로 병들어가는 동물들

후원해 주세요!

후원하기

후원하기로 바로가기

사단법인 동물복지문제연구소 어웨어 | 고유번호 123-82-15535 | 대표 이형주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37길 12-7, 106호 (빌드온빌딩) 우: 06735

대표전화: 070-8666-6765 | 팩스번호: 02-6455-6765 | E-mail: webmaster@aware.kr


Copyright © 2021 AWARE | Animal Welfare Awareness, Research and Education. All rights reserved.